본문 바로가기
반직장인

LG AI연구원, '엑사원 4.0'으로 AI 혁신 선도... 생산성 1000배 향상

by Banjubu 2025. 7. 22.
728x90
반응형
SMALL

 

 

 

 

 

 

 

최신 정보: 엑사원 4.0과 엑사원 생태계의 전격 공개

2025년 7월 15일, LG AI연구원은 한국 최초의 오픈 가중치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 4.0'을 공개하며 글로벌 AI 혁신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이 모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추론 AI 모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MMLU-Redux 92.3, MMLU-Pro 81.8 등 다양한 벤치마크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의사, 치과의사, 한약사, 관세사, 감정평가사, 보험계리사 등 6개 국가 전문 자격증의 필기 시험을 통과하며 전문 분야에서의 뛰어난 성능을 입증했습니다. 엑사원 4.0은 32B(320억 파라미터)의 고성능 모델과 1.2B(12억 파라미터)의 온디바이스 모델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128K 토큰을 처리할 수 있어 이전 버전인 엑사원 3.5에 비해 4배 향상된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 모델은 Hugging Face를 통해 연구, 학술, 교육 목적으로 공개되었습니다(Hugging Face EXAONE 페이지).

2025년 7월 22일, LG AI연구원은 서울 마곡 LG 사이언스파크에서 'LG AI Talk Concert 2025'를 개최하며 엑사원 생태계와 주요 국내외 파트너를 소개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엑사원 생태계의 다양한 AI 모델과 글로벌 협력의 잠재력을 강조하며, AI 기술이 산업과 일상에서 창출할 수 있는 가치를 공유했습니다. LG AI연구원은 아마존(AWS)과의 협력을 통해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벤더빌트 대학교 의료센터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의료 AI 연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LG AI연구원 소개: AI 혁신의 선두주자

LG AI연구원은 2020년 LG그룹이 설립한 AI 전용 연구 기관으로, AI 기술을 통해 일상, 산업, 경제, 그리고 지구 환경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LG 사이언스파크에 위치한 이 연구소는 약 100만 평방미터 규모의 한국 최대 R&D 복합단지로, LG그룹 계열사 8곳과 파트너 기업, 스타트업 등 2만 명 이상의 인력이 협력하고 있습니다(LG 사이언스파크 소개).

LG AI연구원은 세계적인 AI 전문가들을 영입하여 최신 AI 원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구글 브레인 출신이자 2013년 IEEE 선정 세계 10대 AI 연구자 중 한 명인 리홍락 미시간대학교 교수를 C-Level AI 과학자로 초빙했습니다. 또한, 서울대학교, 토론토대학교 등 글로벌 학술 기관과 협력하여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LG AI연구원은 일반 AI에서 전문 AI로의 전환 트렌드를 예견하며, '엑사원' 시리즈를 통해 특정 산업에 최적화된 AI 모델을 개발해왔습니다(LG AI연구원 공식 홈페이지).

엑사원 생태계: 전문 AI를 위한 혁신적 플랫폼

엑사원 생태계는 LG AI연구원이 개발한 다양한 AI 모델로 구성된 플랫폼으로, 'EXpert AI for EveryONE'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이 생태계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대규모 멀티모달 모델(LMM)을 포함하며, 각 모델은 특정 산업과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엑사원 4.0: 하이브리드 AI의 정점

엑사원 4.0은 General-Reasoning Hybrid 구조를 채택하여, 추론과 비추론 작업 모두에서 동급 글로벌 모델 중 최고의 성능을 기록했습니다. 이 모델은 Agentic AI를 구현하기 위한 MCP(Multi-Context Processing)와 Function Calling 기능을 지원하며, 실 서비스 환경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수학 문제 해결, 코딩, 장문 텍스트 이해 등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줍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4.0을 통해 한국을 대표하는 프론티어 모델로 자리 잡겠다는 목표를 밝혔습니다(엑사원 4.0 공개 기사).

엑사원 패스 2.0: 의료 혁신의 선두

엑사원 패스 2.0은 암 진단과 치료에 특화된 AI 모델로, 유전자 변이와 발현 패턴을 분석하여 조기 암 발견과 신약 개발을 지원합니다. 이 모델은 기존 1.0 버전보다 고품질 데이터를 학습하여 78.4%의 유전자 변이 예측 정확도를 달성했으며, 유전자 검사 시간을 2주 이상에서 1분 미만으로 단축했습니다. 이는 약 20,000배의 시간 단축 효과로, 의료 분야에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습니다. LG AI연구원은 벤더빌트 대학교 의료센터와 협력하여 폐암, 대장암 등 특정 질환에 특화된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향후 이식 거부 반응, 면역학, 당뇨병 연구로 확장할 계획입니다(엑사원 패스 2.0 소개).

글로벌 파트너십과 기술 기반

엑사원 생태계는 아마존(AWS)과의 협력을 통해 Amazon SageMaker와 Amazon FSx for Lustre를 활용하여 대규모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엑사원 엔진을 1년 만에 개발하며 기술적 기반을 강화했습니다(LG AI Research, Amazon SageMaker 활용). 또한, LG AI연구원은 'Expert AI Alliance'를 통해 국내외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초대규모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연합은 2022년 13개 창립 멤버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글로벌 기관과 협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과거와 현재: LG AI연구원의 여정

LG AI연구원은 2020년 설립 이후 AI 기술 개발에 꾸준히 매진해왔습니다. 아래는 주요 연혁을 정리한 표입니다:

연도 주요 성과

2020 LG AI연구원 설립, 배경훈 원장 및 리홍락 C-Level AI 과학자 영입
2021 엑사원 시리즈 첫 공개, 전문 AI 개발 시작
2022 Expert AI Alliance 설립, 13개 창립 멤버와 초대규모 AI 생태계 구축 시작
2023 엑사원 2.0 공개, 멀티모달 AI로 성능 강화
2024 엑사원 3.0 및 3.5 오픈소스 공개, 글로벌 AI 연구 생태계 촉진
2025 엑사원 딥(3월), 엑사원 패스 2.0(7월), 엑사원 4.0(7월) 공개, LG AI Talk Concert 2025에서 생태계 비전 발표

2021년 첫 엑사원 모델 공개 이후, LG AI연구원은 매년 모델을 업그레이드하며 전문 AI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했습니다. 2024년 8월 엑사원 3.0, 12월 엑사원 3.5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글로벌 AI 연구자들과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2025년 3월에는 추론 능력에 특화된 '엑사원 딥'을 발표하며 OpenAI, 구글 등 글로벌 경쟁자들을 능가하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엑사원 딥 GitHub). 2025년 7월 엑사원 4.0 공개와 함께 엑사원 생태계는 산업 전반에 걸친 AI 혁신을 이끄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참고 링크

 

 

 

728x90
반응형
LIST